응용화학과, 13년 연속 부산미래과학자상 쾌거 – 김승주(석사)·박수빈·백소연(학사) 수상
- 2024-12-24
- 정수지
- 435
<좌측부터 응용화학 박수빈, 응용화학ㆍ식품공학과 김승주, 응용화학 백소연 씨>
지난 12월 5일 오전 10시, 부산광역시청 12층 국제회의실에서 진행된 ‘제20회 부산 미래과학자상’ 시상식에서 동의대 응용화학ㆍ식품공학과 김승주 씨가 석사 과정 공학 부문 최우수상을, 응용화학과(2025년 화장품공학과 변경 예정) 박수빈 씨와 백소연 씨가 각각 학사 과정 이학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부산광역시가 주최하고 부산과학기술협의회가 주관하는 부산미래과학자상은 지역 이공계 대학(원)생과 고교생을 대상으로 과학적 학술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 인재를 육성하고자 매년 각 부문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1차 서류 심사와 2차 구술 및 발표 심사를 통해 선정되며, 석사과정 부문은 SCI 등재 논문의 인용지수를 고려하여 전체 연구 실적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해 업적이 뛰어난 대상자를 선정한 후 구술ㆍ발표 심사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대학생 논문상은 접수된 논문을 분야별로 평가 후 공개 발표를 통하여 심사하여 1, 2차 심사 결과를 합산하여 수상자를 결정한다.
<대학원 응용화학ㆍ식품공학과 석사과정 2학년 김승주 씨(사진 왼쪽 첫 번째)>
석사과정 공학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김승주(응용화학ㆍ식품공학과) 씨는 배터리 화재와 같은 최근의 이슈를 포함해 다양한 초기 화재 진압에 활용 가능한 마이크로캡슐형 소화약제를 연구하여 ‘Thermoresponsive Microcapsules with Fire-Extinguishing Composites for Fire Prevention’ 논문으로 ‘ACS Applied Polymer Materials’ 저널에 제1저자로 게재되어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김 씨는 이번 연구를 포함해 총 4건의 제1저자 논문을 포함한 6편의 논문(SCI급 4건, 비SCI급 2건)과 2건의 특허, 12건의 수상 경력으로 다양한 연구 성과와 연구 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공학석사 부문 최우수상과 함께 장학금 100만원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김 씨는 연구에 대해 “마이크로캡슐형 소화약제는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사람이 별도로 작동시키지 않아도 자가 소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며 “앞으로도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를 통해 화재 안전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싶다. 더욱 정진하여 좋은 성과를 보여드리겠다”고 포부를 밝혔고, 석사과정 동안 아낌없이 지도해주신 이규철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연구 기간동안 함께 동고동락한 연구실 팀원들에게도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응용화학과 2학년 박수빈 씨(사진 왼쪽 두 번째)와 백소연 씨(사진 왼쪽 세 번째)>
학사과정 이학부문 우수상을 수상한 박수빈(응용화학과) 씨는 ‘Effect of Chlorogenic Acid on Melanin Production in B16F1 cells’ 연구로 Chlorogenic acid의 멜라닌 합성 및 항산화 효능을 입증하여 우수상을 수상하며 장학금 50만원을 받았다. 박 씨는 “가장 각광받고 있는 주제인 노화에 관련하여 연구 물질을 개발해 항노화 연구에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효능을 가진 클로로겐산을 백발화를 억제하는 천연소재로써 흑모 관련 제품 개발 시에 응용해보고 싶습니다.”고 포부를 밝혔다. 또한, “부족한 저를 이끌어주시고, 귀중한 시간 내어 세심하게 지도해주신 세포 생화학 연구실에 김문무 교수님, 이시언 선배님, 김경희 선배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고 감사의 말을 전했다.
이어 학사과정 이학부문 우수상을 수상한 백소연(응용화학과) 씨는 ‘Effect of 3,4-Dihydroxybenzoic Acid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연구로 3,4-DHBA의 멜라닌 합성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우수상 선정의 영예와 함께 장학금 50만원을 받았다. 백 씨는 “13년 연속 수상이라는 영광스러운 전통에 기여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고 소감을 밝혔고, “이번 연구를 통해 3,4-DHBA의 기능성을 탐구할 수 있었던 기회에 감사하며, 연구 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주신 김문무 교수님과 김경희 선배님께 특히 감사드립니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제 20회 부산미래과학자상을 포함한 2024년 부산과학문화상 시상제 단체사진>
- 이전글 유기재료합성연구실 김승주 대학원생, 한국화학공학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